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프로그래머스 암호 해독
- swift
- 프로그래머스 조건에 맞게 수열 변경하기 3
- 문자열 붙여서 출력하기
- 스페인어
- n번째 원소까지
- ruby설치
- Break
- 프로그래머스 n번째 원소까지
- Error installing cocoapods
- 프로그래머스 자동커밋
- 배열 만들기1
- 스파르타 코딩클럽 내일배움캠프
- 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머스 최댓값 만들기(2)
- 문자열 정렬하기 (1)
- 프로그래머스 n의 배수 고르기
- 스파르타코딩캠프
- 주사위 게임1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붙여서 출력하기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정렬하기 (1)
- Til
- continue
- 프로그래머스 배열 만들기1
- 프로그래머스 주사위 게임1
- array
- 연산자
- cocoapods 설치 오류
- 객체지향
- 조건에 맞게 수열 변경하기 3
- Today
- Total
목록Dev/네크워크 (4)
dev._.note
REST REST 정의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에 의한 상태 전달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자원: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ex) 문서, 그림, 데..
HTTP 쿠키(Cookie) 란 ? HTTP 쿠키는 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로도 불리는데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을 의미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유닉스의 매직쿠키에서 이름과 개념이 유래하였고, 루 몬텔루라는 웹 브라우저 개발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를 확인하기 위해 만들었다. HTTP 통신은 stateless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쿠키라는 개념이 따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쿠키는 주로 세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로그인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 개인 설정유지, 사용자 트래킹(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것 ) 용도로 사용된다. HTTP의 stateless 란 statsless 라는 것은 번역하자면 상태가 없다는 뜻이다. HTTP에서..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네트워크는 Net + Work 의 합성어로써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의미합니다. 좀더 쉽게 말하자면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야기)할 수 있는 것" 이것이 바로 네트워크 입니다. 누구는 네트워크의 정의를 이렇게 내립니다. '어떤 연결을 통해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말이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국제 전기 전자 공학회)에서는 네트워크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습니다. "몇 개의 독립적인 장치가 적절한 영역내에서 적당히 빠른 속도의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데이타 통신 체계"라고 말입니다...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 해당 자원(URI)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 CRUD Operation이란? CRUD는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로 REST에서의 CRUD Operation 동작 예시는 다음과 같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