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il
- 스파르타 코딩클럽 내일배움캠프
- Error installing cocoapods
- 프로그래머스 암호 해독
- 프로그래머스 주사위 게임1
- 문자열 정렬하기 (1)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붙여서 출력하기
- 프로그래머스 n의 배수 고르기
- 프로그래머스
- ruby설치
- cocoapods 설치 오류
- 프로그래머스 n번째 원소까지
- 주사위 게임1
- 스파르타코딩캠프
- 프로그래머스 자동커밋
- n번째 원소까지
- 객체지향
- continue
- 조건에 맞게 수열 변경하기 3
- 스페인어
- array
- swift
- 연산자
- 배열 만들기1
- 프로그래머스 조건에 맞게 수열 변경하기 3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정렬하기 (1)
- 프로그래머스 최댓값 만들기(2)
- 프로그래머스 배열 만들기1
- 문자열 붙여서 출력하기
- Break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12)
dev._.note

Action Segue를 활용하여 전환하기 @IBAction func tapListButton(_ sender: Any) { performSegue(withIdentifier: "showListView", sender: nil) } Manual Segue를 활용하여 전환하기 @IBAction func tapListButton(_ sender: Any) { //Present //WishListViewController를 가져오는 코드 guard let nextVC = self.storyboard?.instantiateViewController(withIdentifier: "WishListViewController") else { return } //modalTransitionStyle 지정하는 코드 sel..
lazy란? lazy 저장 프로퍼티는 처음 사용되지 전까지 초기값이 계산되지 않는 프로퍼티이다. (메모리에 올라가지 않는다.) 변수(var) 앞에 lazy를 선언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lazy는 var(변수) 앞에 사용 초기 값은 인스턴스 초기화가 완료 될 때까지 검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변수로 선언해야한다. 상수(let)은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에 항상 값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어야 하기 떄문에 lazy로 선언할 수 없다. struct Hello { init() { print("Hello 생성") } } struct Hello2 { init() { print("Hello2 생성") } } struct Hi { var name: String //lazy //lazy 키워드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생성이..
Decodabe, Encodable, Codable Decodable 프로토콜 Decodable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객체로 디코딩할 때 사용됩니다. 즉, 외부 데이터(JSON)를 Swift의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데에 필요한 프로토콜입니다. **Decodable**을 준수하는 객체는 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데이터를 객체의 프로퍼티로 매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곳에서 CodingKeys 는 디코딩 할 때, 프로퍼티들에 대한 매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id라는 프로퍼티의 디코딩 키를 key로, name 프로퍼티의 디코딩 키를 프로퍼티 이름과 동일하게 지정한 예시입니다. struct User: Decodable { let id: Int let name: String // 다른 프로..
URLSession URLSession은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보내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URLSession의 주요 특징 비동기적 네트워킹 (Asynchronous Networking) URLSession은 비동기적으로 네트워크 요청을 처리하므로, 네트워크 작업이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는 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응답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식 지원 URLSessi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JSON, 이미지, 파일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숙련 챕터에서의 예제는 JSON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합니다. 캐시와 쿠키 관리 URLSession은 네트워크 응답을 캐싱하고 쿠키를 관리할 수 있는 기..
REST REST 정의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에 의한 상태 전달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자원: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ex) 문서, 그림, 데..
URL 구성요소 각 구성요소들은 API 엔드포인트와 함께 특정 자원에 대한 요청을 식별하고 전달하는 데 사용. 프로토콜 (Protocol) URL은 일반적으로 http:// 또는 **https://**와 같은 프로토콜로 시작합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방법을 지정합니다. **http://**는 보안 없는 통신을, **https://**는 SSL/TLS 암호화를 사용하여 보안된 통신을 나타냅니다. 도메인 (Domain) 도메인은 API 서버가 호스팅되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pi.example.com**은 API 서버가 위치한 서버의 도메인 주소입니다. 포트 (Port, 옵션) 포트 번호는 서버에서 API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포트를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경우 H..
📌 키오스크 팀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코드를 치면서 struct와 class를 언제 사용해야하는지 알지못하고 마구잡이로 사용하고 있다는것이 확 와닿았다. 해서 오늘은 struct와 class를 언제 사용해야 좋은지 학습했는데 값, 참조타입을 어디로 저장하는지부터 다시 재학습했다. 강한참조, 약한참조 무슨뜻인지 모르고 외우면서 넘어갔던 내용들이 왜 강조 되었는지 저장공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하는지 이제 조금씩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 공부 ∙struct와 class 💡 공부한 부분 ▶︎ struct와 class

struct와 class struct와 class중에 어떤걸 사용해야 할까? 여기서 어떤걸 사용해야 할지 알기 위해서는 값타입과 참조타입의 차이를 알아야한다. 값 타입(Value type)은 값 자체를 변수명과 함께 Stack에 저장한다. 참조타입(Reference type)은 값을 별도의 메모리 공간 Heap에 저장하고 메모리의 주소를 변수명과 함께 Stack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컴퓨터 파일로 비유해서 말하면 "파일로저장"과 "링크로 저장"의 차이이다. Struct와 Class 예시 struct StructTest { var name: String var age: Int var memo: String } var _st1 = StructTest(name: "", age: 0, memo: "") var ..